본문 바로가기

현장

동시대 무용 현장에서 벌어지는 현상과 논의에 주목하고, 이를 다각도로 집중 조명합니다.

2018.03.15 조회 3827
  • 페이스북
  • 트위터
  • url복사
  • 프린트

거인의 춤

거인의 춤
유희경_시인



2018년 3월부터 <춤과 문학>은 엄유정 작가의 일러스트와 함게 합니다.

ⓒEOMYUJEONG

춤을 배운 적이 있었다. 자의는 아니었다. 연극 관련 전공으로 대학을 다니던 시절 이야기이다. 필수 이수 과목으로, 장구와 한량무를 배우는 수업이었다. 탁월한 것까진 아니어도 준수한 수준의 박치, 몸치인 내게 악기와 춤이라니, 한 학기 내내 절망적이었다. 우여곡절 끝에 기말 시험을 보던 날, 나의 춤을 지켜본 친구는 웃음을 참으며 이렇게 말했다. “정말 절박해 보였어. 물에 빠져 허우적대는 사람, 딱 그 꼴이었다니까.”
가끔 생각한다. 그 수업에 즐거움을 느꼈다면 어땠을까. 혹시 어디서건 춤을 좀 배워보려 하지는 않았을까. 춤에 대해선 알지 못하지만, 그것이 ‘몸’이라는 조건에서 성립하는 행위라는 것쯤은 알고 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중에도 일관성을 유지하는 이 ‘몸’이라는 기제는 시에 있어서도 주된 소재이자 주제 중 하나이다. 가능만 했다면, 이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직관적인 동시에 감각적이며 효율적인 춤을 배우려 들었을 거란 짐작은 과장이 아닐 것이다.
아닌 게 아니라, 춤은 그 어떤 장르보다 사람에 ‘가깝다.’ 몸을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 몸을 매개로 한 까닭에 춤은 사람에서 출발해서, ‘어떤 곳’으로 갔다가 다시 사람으로 돌아온다. 몸으로 몸을 뛰어넘는다는 점에서 아름다우며, 그로부터 다시 몸으로 돌아간다는 점에서 경이롭다. 이것은 예술의 가장 기본적인 추구이다. 사람에 대한 이해가 없는 예술은 그저 기술에 불과할 따름이 아니겠는가. 그렇다면 춤은 예술의 장르 중 가장 원초적인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십여 년 전 겨울, 우연한 계기에 나는 그에 걸맞은 무대를 본 적이 있었다. 우연한 계기에 관람하게 된 한 대학의 무용과 졸업 발표회에서였다. 행사의 프로그램 대부분은 학생들이 꾸몄다. 두 시간은 족히 이어지는 공연인지라 중간쯤엔 지루해졌고, 이제 그만 자리를 떠야겠다고 생각하던 참이었다. 장내에 간단한 안내와 함께 그 공연이 시작되었다.

무대 위에 톱 조명이 떨어지고 거기 한 사람이 있었다. 그는 정지해 있었다. 아니,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였다. 실은 그가 움직이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기까지 시간이 필요했다. 나는 눈이 지독하게 나쁘다. 콘텍트렌즈로 시력 보정을 한 뒤에도 안경을 써야 할 정도로. 하지만 움직임을 뒤늦게 눈치 챈 것은 그 때문만이 아니었다.
무대 위, 춤꾼의 움직임이 무척이나 느리고 작았던 것이다. 넓은 무대 한복판에 떨어진, 한두 걸음 폭만 한 조명 안에서 벌어지는 일을 2층 객석에서 눈치 채기란 누구나 쉽지 않을 터였다. 그러나 어느 새 나는 그 동작을 알아볼 수 있었다. 사소한 것은커녕 분명한 변화도 알아채기 힘든 미약한 시력의 소지자로선 신기한 일이 아닐 수 없었다. 그의 발이 좁게 짚어 생기는 몸의 변화가 굳이 애를 쓰지 않아도 느껴졌던 것이다.
나는 그것이 춤인 것을 알았다. 무용과 졸업 공연 무대에서 벌어질 일은 춤 외엔 없겠지만, 그런 이해는 머릿속에서 지워진 지 오래였다. 그것은 춤이었으며, 춤이 아닐 수가 없었다. 그 춤이 지향하는 바가, 메시지가 무엇인지 고민하지 않았다. 그냥 보고 있는 것만으로 충분했다. 누차 ‘본다’라고 적었지만, ‘받아들이다’에 더 가까웠을지도 모르겠다. 무대가 있었고, 조명이 있었고, 사람이 있었고, 그가 움직이고 있었다는 것에 아무런 의문도 이의도 없었으니까.
고무되지도 격양되지도 않았으며, 이입도 소외도 없었다. 꽤나 오랜 시간이었는데 순식간에 끝나버렸던 것 같다. 아니 그 반대였나. 이제는 기억이 나질 않는다. 대부분의 것을 잊었다. 퍽 오래전 일이다. 그때 그 무용가가 누구였는지도 모른다. 그것을 알려줄 수 있을 당시 무용과 졸업생과는 이제 연락이 닿지 않는다. 그럼에도 그때 내가 보았던 그 춤에 대한 기억은 여태 간직하고 있다.

화려하지도 않았고 세련된 것도 아니었다. 그런 것으로만 따지자면, 그 앞뒤로 펼쳐진 다른 공연들이 더 근사했다고 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무대 위엔 다른 것이 있었다. 화려함이나 세련됨과는 비교도 될 수 없는, 살아낸 자가 아니고서는 채울 수 없는 ‘어떤 것’이었다. 그것을 나는 ‘생애’라고 생각했다.
세계는 개인에게 주어진 것이다. 개인이 어떤 판단을 내리면 세계는 그에 맞춰져 돌아간다. 재미있는 것은 개인이 존재하지 않아도 세계는 남아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세계의 정체는 무엇인가. 누군가에게는 유한할 것이며, 또 누군가에게는 무한할 것이다. 누군가에게는 평면이고 누군가에게는 입체로 와 닿을 수도 있으리라. 다시 말해, 세계는 다양한 생들의 빼곡한 집합체이다. 미시적(微示的)인 관점으로는 그 모든 세계가 특수성으로 가득할 것이다. 그러나 그 무용가는 희대의 거인이었다. 그는 삶의 모든 국면을 높은 곳에서 바라본다. 거시적(巨視的)인 관점 아래는 모든 것이 요연하다. 거인은 느리고 굼뜨게 움직인다. 그것으로도 충분하다. 그 순간 생애는 요약된다. 무용가의 중심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다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옮아가는 순간 억겁의 시간은 순간으로 압축된다. 그것은 이해로 작동된다. 이해될 때, 인간의 삶을 아름다워진다.
시를 써야 할 때 나는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만난다. 그럴 때마다 그 무대를 떠올리곤 한다. 머릿속에서 하도 자주 반복하다 보니, 그것이 과연 실재했던 순간이었는지 의심이 생길 때도 있다. 만약, 그 무대를 다시 보게 된다면 실망을 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해본다. 정말 그럴까. 알 수 없는 일이지만, 그렇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내가 보고 싶었던 것과 진배없는 까닭이다. 내 기억 속 무대 위에 톱 조명이 떨어지고 작은 내가 간신히 한 발을 내딛으려고 한다. 그것은 느리고 작은 움직임이다. 그 안에는 생각으로 다 담을 수 없는 커다란 어떤 것이 있다. 그것은 삶에 대한 이야기이다. 내가 살아오면서 보고 듣고 느꼈던 것들에 대한 이해다. 충분히 아름답다.

글_유희경 198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와 한국예술종합학교 극작과를 졸업했다. 2008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시인이 되었으며 시집으로 『오늘 아침 단어』 『당신의 자리-나무로 자라는 방법』이 있다. ‘2011 동료들이 뽑은 젊은 시인상’을 수상했다. 현재는 신촌 기차역 부근에 작은 시집 서점을 운영하며 지내고 있다.
그림_엄유정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다.주변 환경을 토대로 드로잉, 페인팅 작업을 하고 있다. 직접 경험한 것, 어딘가 떠도는 이미지로부터 포착한 장면을 기록하는 것에 관심을 둔다.서울, 도쿄에서 다수의 개인전과 기획전을 열었고 아이슬란드 북부의 아티스트 레지던시에 참여했다.개인작업과 더불어 출판,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하고 있다. www.slowdream.com


목록

댓글 0

0 / 300자